대구·경북 확진 5천명 돌파…요양시설 또 무더기감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국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 대구·경북지역 상황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 두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벌써 5,000명을 넘어섰고 어제는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사망자가 속출했는데요.<br /><br />대구시청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대구시청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대구와 경북지역의 누적 확진자 수가 벌써 5천명을 돌파했습니다.<br /><br />어제 0시 이후 오후 4시까지 전국에서 322명의 확진자가 추가됐는데 아직 지역별로 구분되진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어제 0시 기준으로 보면 대구와 경북지역의 누적 확진자 수는 5,188명입니다.<br /><br />지역별로는 대구가 4,327명, 경북 861명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신천지 신도들이 주를 이뤘는데 어제는 경북지역 요양 시설에서 확진자가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 통계와 별도로 경북 봉화군의 푸른요양원에서는 모두 49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경산의 요양원 두 곳에서도 코로나19 감염자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요양 시설 이용자 대부분이 고령이기 때문에 매우 치명적일 수 있고 밀폐된 공간이다 보니 집단 감염마저 우려되는데요.<br /><br />이에 경상북도는 오는 9일부터 22일까지 지역 내 생활복지시설 580여 곳을 대상으로 예방적 코호트 격리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사망자도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어제 대구에서 3명 경북에서 4명이 추가로 숨지면서 국내 누적 사망자 수는 42명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5년 메르스 당시 전체 사망자 39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확진자가 속출한 경산시를 대구와 청도에 이어 국내 세 번째 감염병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렇군요.<br /><br />환자가 늘어날수록 병실이 병실 부족 문제는 더욱 심화 될 것으로 보이는데 생활치료센터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경증환자 치료를 위한 생활치료센터가 지속적으로 확대 운영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구와 경북지역에 조성된 시설에 환자들이 줄지어 입소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늘어나고 있는 확진자 수를 따라가는 데는 역부족인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어제 0시 기준으로 대구와 영덕 등의 연수원이 모두 582명이 입소했는데요.<br /><br />국군대구병원과 칠곡의 생활치료센터에도 추가로 입소 조치가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입원 대기 중인 환자는 2,000명을 웃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구시는 장소적 개념으로는 3,000실 정도를 확보했으나 주민 반대나 적합성 문제로 전환이 검토되다 취소되는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는데요.<br /><br />급한대로 해당 지자체와 주민들과 긴밀히 협의해 이번 주말에는 추가 확진자를 제외한 자가격리 환자 전원을 입소시킨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다음 주부터는 의료 인력이 추가 배치돼 인력난이 어느 정도 해소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신임 공보의 750명을 조기 임용해 오는 9일부터 대구와 경북 등 각 지역에 배치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제 1시간 뒤면 질병관리본부에서 오늘 0시 기준 추가 확진자 통계 현황을 발표할 텐데요.<br /><br />대구지역 추가 확진자 폭이 줄어들고 있는 만큼 오늘도 좋은 소식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대구시청에서 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