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다음주 월요일부터 마스크를 정해진 요일에만 살 수 있는 공적 마스크 5부제가 실시됩니다. <br> <br>90년도생인 저의 경우 이번 주말까지 마스크를 못사면 다음주 금요일까지 기다려야하죠. <br> <br>저처럼 발등에 불이 떨어진 사람들이 오늘 여기저기 약국으로 몰렸습니다. <br> <br>신분증 검사는 오늘부터 시범으로 시작했는데, 박선영 기자가 약국들을 돌아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20대 남성 이세현 씨가 동네 약국들을 분주히 드나듭니다. <br> <br>오전에 들렀다 마스크가 없어서 허탕친 세 곳을 포함해 오후부터 약국을 다섯 곳째 돌고있지만 이미 팔렸거나 문을 닫았거나 입고된 마스크가 없었습니다.<br> <br>[이세현 / 서울 강서구] <br>"여기가 딱 오후에 5번째로 마지막으로 간 가게(약국)였거든요." <br> <br>일주일 가까이 쓴 마스크는 오늘도 갈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[이세현 / 서울 강서구] <br>"이것도 일주일 가까이 썼거든요. 그렇게(재사용) 해야죠. 별수 있어요?" <br> <br>서울 서대문구의 약국. <br> <br>마스크가 입고됐단 소식에 시민들이 줄을 서 기다립니다. <br> <br>그런데 신분증이 없으면 안 판다는 안내를 받고 발길을 돌립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신분증 안 가져왔는데. (신분증 있어야 해요.) 이거 진료 카드도 안되죠?" <br> <br>양천구에 있는 다른 약국은 신분증은 보지도 않고 명단에 이름만 적게 합니다. <br> <br>신분 확인 기준이 약국마다 제각각인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엄마와 할아버지와 함께 마스크를 사러 온 초등학생에겐 신분증이 없다며 아동 마스크를 팔지 않습니다. <br> <br>[김현주 / 서울 강서구] <br>“얘도 쓰고 나가야 되는 상황인데 1시간 줄을 섰는데, 가족이니까 두 장 밖에 안된다고…” <br> <br>약국에 주민번호를 적어 놓고 마스크를 산 다음, 전산망에 입력하기 전에 다른 약국을 찾아가 마스크를 중복 구매하는 사람들까지 있습니다. <br> <br>[약국 관계자] <br>“다른 데(약국) 가서 또 (마스크를) 받으신 거예요. 그런 나쁜 사람이 10명이나 있었어요. 125명 중에 10명.” <br> <br>마스크 5부제 본격 시행이 코 앞으로 다가왔지만 현장의 혼란과 시민의 불편은 여전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선영입니다. <br> <br>tebah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추진엽 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>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