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임신부가 코로나 19 확진판정을 받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태아는 괜찮을지, 임신부 특성상 약물 치료를 할 순 있을지, 걱정인데 최주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 <br>[리포트]<br> 부산대학교 병원으로 이송된 코로나19 확진환자는 38살 임신부였습니다. <br> <br> 임신 14주가 지난 여성은 아직 의심 증상을 느끼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증상의 경중과 관계없이 '고위험군’으로 분류돼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. <br> <br>[부산 강서구보건소 관계자] <br>"거의 정상입니다. 본인이 못느낄 정도로 증상이 따로 크게 없는 상황입니다." <br> <br> 당국은 임신부가 남편에게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주말 부부 생활을 하고 있는 임신부는 대구에 직장이 있는 남편과 열흘 전 만난게 마지막이었습니다. <br> <br> 지난 5일 남편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고 급히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았습니다. <br><br> 당국은 바이러스가 혈액으로 전파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설명합니다. <br> <br>[권준욱 /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] <br>"임신부 자체가 고위험군에 해당됩니다. '수직 감염' 등 여부와 관련해서는 혈액으로의 전파 자체는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…" <br> <br>실제 지난달 6일 중국 항저우에서 임신 35주차 확진 여성이 출산한 신생아는 음성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><br> 하지만 의학계에서는 메르스와 사스 사례처럼 직접 감염될 가능성은 낮아도 조산이나 태아 성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우려합니다. <br> <br>세계적인 의학 저널 란셋은 확진 산모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 제왕절개나 유도 분만 가운데 적정한 방법을 결정할 것을 권고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. <br> <br>choigod@donga.com <br> <br>스마트리포터 : 백승영 류 열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>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