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0개국 강타한 코로나19…"이미 팬데믹" 지적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에서 시작된 코로나19가 결국 전 세계 100여 개국을 강타했습니다.<br /><br />확진자 수만 10만 명을 훨씬 넘어섰는데요.<br /><br />이미 세계적 대유행, 즉 팬데믹에 접어들었단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세계보건기구는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황정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말 중국에서 발병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두달여 만에 이미 전 대륙을 강타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이 집계한 현황을 보면 한국시간으로 8일 오후까지 전 세계 103개국에서 10만여 명이 확진됐고, 사망자는 3천600명에 도달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본토를 제외하더라도 이미 전 세계에서 2만5천명이 넘는 사람이 감염됐고, 500명 넘게 목숨을 잃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중국 푸단대학 진리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중국 이외 지역의 확진자 수가 19일마다 10배씩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는데, 실제로 지난달 16일 683명 수준에서 지난 5일 1만4천700여명 수준으로 21배 뛴 걸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곳곳에선 이미 팬데믹 상황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팬데믹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는 없지만, 팬데믹이 불가피하단 사실은 몇주 전부터 명백했습니다."<br /><br />통상 팬데믹은 '다른 대륙의 국가에까지 추가로 전염이 발생한 상태'로 현재까지 1918년 스페인 독감과 2009년 조류인플루엔자 당시 선포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19의 팬데믹이 현실화하면 전 세계적으로 국내총생산이 최대 3천200조원 가량 줄어들 거란 전망과 함께 도쿄올림픽 개최에도 영향을 미칠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세계보건기구는 아직 코로나19를 위한 팬데믹 정의는 아무것도 규정된 것이 없다면서 아직 선언할 단계가 아니라고 선을 그으며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세계보건기구가 조류인플루엔자 당시 팬데믹을 선포했다 과잉대응이란 비난을 받은 데다 국제사회에 미칠 경제적, 정치적 파장을 우려해 선뜻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황정현입니다. (swee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