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느새 한국발 입국을 제한하는 국가가 106곳에 달하지만, 더 중요한 건 하늘길을 확보하는 겁니다. <br> <br>길목에 있는 거점 허브공항이 하나씩 막혀가고 있어 정부가 고민입니다. <br> <br>항공사는 프랑스 파리 공항만은 사수해야 한다고 합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정부가 대륙별 거점 공항으로 가는 하늘길 사수에 팔을 걷어붙였습니다. <br> <br>각국으로 가는 직항로가 끊기는 상황에서 우회로인 거점 공항까지 막힌다면 말그대로 고립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세계 10대 허브 공항 가운데 절반인 5개 공항은 우리 국적기로는 갈 수 없습니다. <br><br>동남아 거점인 홍콩과 싱가포르, 방콕 공항과 중동 아프리카 거점인 두바이 공항, 유럽의 관문 이스탄불 공항이 이미 막혔습니다. <br> <br>그 곳에 가려면 인천을 경유하는 외국 항공기를 이용해야 합니다. <br> <br>프랑크푸르트, 암스테르담, 파리, 런던 등 유럽 거점 공항은 아직 열려 있지만 다음주부터 운항 횟수가 줄어듭니다.<br><br>정부 관계자는 "거점 공항이 있는 나라들에게 입국 제한 완화와 항공 노선 유지를 요구하고 있다"면서 "일방적으로 노선을 끊을 경우 상대국 항공기의 한국행 노선 중단 등 맞대응까지 검토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><br>항공사 관계자는 "파리 드골 공항 만큼은 반드시 사수해야 하는 마지노선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입국 제한을 하지 않는 미국도 보스턴, 뉴욕, 댈러스 대한항공 운항이 중단됐고 다른 노선도 운항 횟수가 절반으로 줄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 <br>grace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