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난 금요일 교육부는 대형학원이 문을 열면 현장 점검하겠다고 엄포를 놨습니다. <br> <br>대형학원은 상당수가 문을 닫았지만, 작은 학원과 독서실 같은 곳으로 학생들이 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공태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 강남의 대형 입시학원. <br> <br>학생들은 없고 학원 관계자들만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. <br> <br>[입시학원 관계자] <br>"학생들이 안 올 거예요. 휴원 기간이에요." <br> <br>정부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이유로 문을 여는 학원들은 방역 상태 등을 현장 점검하겠다고 예고하자 대형학원들은 속속 휴원을 연장했습니다. <br> <br>[대형 학원 관계자] <br>"(휴원 권고 기간에 문을 열면) 국세청이라든지 경찰청이라든지 공권력으로부터의 공격도 견뎌야 되는 거고. 또 방역도 해야 되는 거고." <br> <br>하지만 중소형 학원들의 상황은 다릅니다. <br> <br>서울 서초구에 있는 이 학원은 다음주까지 내신 진도 보강용 고등부 특강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[○○학원 관계자] <br>"특강은 재원생 전용이에요. 특강은 3회라서 다음 주에 끝납니다." <br> <br>역시 문을 연 영어학원은 재원생 부모 눈치를 봐야 했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영어 학원 관계자] <br>"(부모님들이) 학습할 수 있는 걸 원한다 이래서. 저희도 지금 고민을 하다가 일단은 현재 연 상태인데.” <br> <br>학원 대신 스터디 카페나 독서실을 찾는 학생들은 크게 늘었습니다. <br> <br>[스터디카페 관계자] <br>"1일 이용권이 갑자기 증가하더라고요. 학생들이 지금 많이 오거든요. 엄청 들어와요." <br> <br>중소형 학원과 독서실 등에 학생이 분산되면서 소규모 집단감염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박종선 / 서울 강남구] <br>"여러 가지 걱정되고 그렇다고 마스크끼고 공부하라고 할 수는 없고. 그런 상황이에요." <br> <br>한편 학원총연합회는 "휴원으로 영업 손실과 어려움이 많다"며 교육부에 "지원대책을 마련해달라"고 요청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 <br>ball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김용균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br>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