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민주당 비례정당 참여 여부 따른 의석수는? / YTN

2020-03-09 2 Dailymotion

더불어민주당이 비례용 연합정당 참여 쪽으로 기운 이유는 원내 1당을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이 비례정당에 참여할 경우와 참여하지 않을 경우 전체 의석수는 어떻게 바뀔까요? <br /> <br />김대근 기자가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YTN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4월 총선 비례대표 투표에 어떤 정당을 선택할지 물었습니다. <br /> <br />더불어민주당이 36.6%, 비례정당인 미래한국당은 28.7%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결과와 현재 지역구 의석수를 바탕으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따른 정당별 비례의석수를 예측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비례대표 47석 가운데 미래한국당은 25석, 민주당은 7석을 얻을 거라는 계산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나머지 정의당은 7석, 민생당은 1석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이 고작 7석만 나온 이유는 바뀐 선거제 특성상 지역구에서 충분히 의석을 확보하면 비례대표에서 보전받을 의석이 사실상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미래통합당이 미래한국당과 합치면 민주당 원내 1당 자리는 충분히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이 다른 진보정당과 함께하는 비례연합정당 참여를 고심하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강훈식 / 더불어민주당 수석 대변인 (지난 2일) : (미래)한국당이 지지율 30%를 다 쓰면 미래한국당이 (비례대표) 20석 정도 된다는 것 아닙니까? 왜 민주당은 40%의 지지율을 갖고도 7석밖에 못 갖느냐는 질문에 답을 해야 한다는 거고….] <br /> <br />만약 민주당과 정의당, 민생당이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하고 각 정당 지지율이 그대로 옮겨간다고 가정하면 어떻게 될까요? <br /> <br />3개 정당의 비례대표는 27석으로 늘어나는 반면, 미래한국당 비례의석은 16석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비례연합정당에서 민주당의 몫을 7석으로 한정하더라도 제1당 자리를 위협받을 가능성은 줄어듭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각 당의 지지층이 그대로 비례연합정당으로 옮겨갈지 여부입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 지지층에서도 50% 가까이 비례정당 참여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, 중도층 응답자는 60% 가까이 비례정당이 불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론조사 결과대로 라면 민주당 뜻대로 중도층과 지지층이 비례용 연합정당으로 향할지 불투명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결국 민주당이 어떤 명분으로 설득할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대근[kimdaegeu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30923184467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