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에…글로벌 불황 현실화 조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보건기구, WHO가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위협의 현실화를 경고하자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쳤습니다.<br /><br />이제 코로나19 충격이 세계 실물경제도 엄습할 것이란 징후도 뚜렷해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건강을 위협하는 병이 먹고사는 문제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윤선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에 불황 공포감이 확산에 감산 조율까지 실패하며 현지시간 9일 국제 유가는 하루 만에 무려 20% 넘게 폭락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뉴욕증시는 폭락세로 거래가 일시 정지되더니 결국 주요 지수들이 7% 넘게 떨어지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뒤 최대 낙폭을 기록했고 약세장 전환 전망이 일제히 대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 코로나19의 경제 충격은 어느 정도일까.<br /><br />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주요 20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.1%로 0.3%포인트, 중국과 미국 전망치는 0.4, 0.2%포인트씩 내렸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 정부 목표치에 한참 미달하는 1.4%로 낮추더니 0.8%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사태가 심각해지자 각국은 경기 부양 총력전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급여세 인하 조치를 언급했고, 홍콩은 현금 지급, 대만과 말레이시아는 각종 지원금 제공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정부도 11조 7,000억원의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한 31조원대 부양책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 "2008년 같은 상당히 큰 위기가 오느냐인데, (각국) 정책들이 어떤 내용으로 나오느냐가 중요한 변수가 될 걸로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특히, 한국의 경우 2분기엔 큰 폭의 수출 감소 전망까지 나오고 있어 2차 추경과 기준금리 인하 등 추가 부양책을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선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