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과 유럽 증시가 대폭락한 가운데, 국내 증시도 '롤러코스터' 장세를 보이며 꽁꽁 얼어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모두 사이드카와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종합주가지수, 코스피는 장 시작과 동시에 무섭게 곤두박질쳤습니다. <br /> <br />장중 한때 8% 이상 폭락하면서 1,700선마저 무너졌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닥지수도 사정은 다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한때 한국거래소는 프로그램 매도 호가의 효력을 일시 중단시키는 '사이드카'와 매매거래를 20분 동안 중단하는 '서킷 브레이커'를 모두 발동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'서킷 브레이커'와 '사이드카'가 모두 발동된 건 증시 개장 이후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는 전 거래일(12일)보다 3%대 떨어진 1,770선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닥지수는 더 큰 폭으로 떨어져 7%대로 폭락한 524에 거래를 종료했습니다. <br /> <br />'코로나19'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세계 경기의 급속한 침체에 대한 우려는 물론 미국 경기부양책에 대한 실망감이 시장의 변동성 확대를 일으켰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다행히 캐나다에서 코로나19 관련 백신 개발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증시는 오후 들어 낙폭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용구 / 하나금융투자 연구위원 : 캐나다 제약사 쪽에서 백신 개발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는 보도와 미국 하원 쪽에서 코로나19와 관련한 긴급 대응책 준비되는 부분들, 글로벌 정책 기대가 한층 더 강화되면서 (낙폭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.) ] <br /> <br />외국인의 순매도세는 7거래일 연속으로 이어졌지만, 연기금을 중심으로 한 기관투자자가 '소방수' 역할을 자처한 덕분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원·달러 환율도 크게 흔들리며 이틀 연속 10원 이상 급등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외환시장에서 원·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(12일)보다 13원 가까이 오른 달러당 1,219.3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[dh022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31318435684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