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제 뉴욕증시를 포함한 전 세계 주요 증시가 폭락했는데요, <br /> <br />각국에서 부양책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뉴욕 증시 주요 지수가 상승 출발했다는 소식입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. 조승희 기자! <br /> <br />어제 폭락한 뉴욕 증시 주요 지수가 상승 출발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동부시간 13일 뉴욕 증시 주요 지수가 상승세로 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지 시간으로 오전 10시 현재 뉴욕증권거래소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.44% 오른 21,717.74에 거래됐습니다. <br /> <br />S&P 500지수는 전장보다 2.98% 오른 2,554.56에,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2.98% 상승한 7,416.59에 거래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각국 정책 당국이 각종 부양책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 미국에서 민주당과 백악관이 부양책 법안 합의에 가까워졌다는 발언이 잇따라 나오면서 안도감을 제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일제히 부양책 합의가 가까워졌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의회가 급여세를 올해 말까지 감면하는 방안을 승인해야 한다고 재차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각국의 중앙은행들의 행보도 빨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 연방준비제도는 전일 환매조건부채권 운영 규모를 대폭 확대하고, 재정증권에 머물렀던 채권매입 대상도 다른 채권으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도 일부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0.5~1.0%p 인하해주는 방식으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행도 환매조건부채권 운용 등의 방식으로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했고, 노르웨이 중앙은행은 50 베이시스 포인트 금리 인하를 단행했습니다 <br /> <br />그동안 각국이 발표한 부양책에 대한 실망감도 적지 않았지만, 주요 정책 당국의 더 적극적인 부양이 본격적으로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가 점차 커지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국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31400221481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