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적 악화에 돈줄까지…기업들 신용등급 강등 위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 경기가 위축되면서 우리 산업에 비상이 걸렸다는 소식 보도해드렸는데요.<br /><br />실적이 악화한 기업은 신용등급이 떨어질 위험이 커지죠.<br /><br />사업도 안되는데 돈 빌리기 어려워지고 이자도 오르는 악순환이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윤선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로 하늘길이 막히면서, 공항이 텅 비었습니다.<br /><br />이대로 가면 항공사들은 수익은 줄고 고정비 부담이 커져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합니다.<br /><br /> "연관 업종까지 고려한다면 (코로나19가) 항공업계에 미치는 타격은 매우 큽니다."<br /><br />이달 들어 인천공항을 통한 대한항공 운송객 수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70%나 급감하자 한국신용평가는 대한항공을 신용등급 하향 검토 대상에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로 소비가 위축되자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이마트 신용등급을 투기등급으로 낮췄고 롯데쇼핑은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바꿨습니다.<br /><br />골드만삭스는 국제유가가 브렌트유 기준으로 배럴당 20달러까지 폭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되면 비싼 원유를 사놓은 정유사들은 대규모 평가손실이 불가피해집니다.<br /><br /> "코로나 사태 때문에 기업들 전반적인 실적 하향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생각이 들고요.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."<br /><br />신용평가사들은 항공과 관광업, 유통 등 내수업종이 가장 위험하고, 정유와 화학, 자동차, 철강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는 코로나19 사태가 지속하면, 재무 여력이 없는 기업들이 강등 압박을 더 받을 것이라며, 투자 축소 등 유연한 재무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선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