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시민 3분의1에 30~50만원 재난생활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일부 지자체가 재난기본소득 성격의 지원금을 제안했었죠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서울시는 시민 3분의 1에 해당하는 118만 가구에 재난생활비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한상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시가 기존 지원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인 시민을 대상으로 재난긴급생활비 지원 대책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저소득층과 영세 자영업자, 아르바이트생, 프리랜서, 건설직 노동자 등에게 최대 50만원의 현금성 지원을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중위소득 100% 이하 가구가 대상으로, 1~2인가구는 30만원, 3~4인 가구는 40만원, 5인 이상 가구는 50만원을 1차례 제공합니다<br /><br />서울 전체 시민 3분의 1에 달하는 117만7,000가구가 해당합니다.<br /><br /> "서울시는 현 상황을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비상상황으로 인식하고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."<br /><br />긴급생활비 지원에 투입되는 예산은 모두 3,270억원에 달할 것으로 서울시는 추산했습니다.<br /><br />이러한 성격의 현금성 지원은 서울만의 결정은 아닙니다.<br /><br />전북 전주시도 취약계층에 52만7,000원 상당의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키로 했고, 김경수 경남도지사, 이재명 경기도지사도 재난기본소득을 정부에 공개 건의했습니다.<br /><br />관건은 이러한 현금성 지원이 전국 지방자치단체로 확대될 경우 지자체의 재정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다 재난기본소득 성격의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지역 주민의 반발도 생길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각에선 생계 절벽에 놓은 계층에게 현금성 직접 지원 말고 현실적인 대안 찾기가 어렵다는 시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는 오는 30일부터 긴급생활비 지원 신청을 받으면 3~4일 내로 지급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상용입니다. (gogo213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