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리나라도 국민들에게 돈을 나눠주는 재난기본소득 논의가 불붙고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시가 오늘 총대를 멨는데요. <br><br>생계가 어려운 가구에 긴급 생활비 명목으로 최대 50만 원을 주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일회성 현금 지원의 효과에는 의문도 제기됩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서울에 사는 117만 7천 가구가 현금 지원을 받게 됩니다. <br><br>3인 가구 기준으론 월 소득 387만 원 이하가 대상입니다. <br><br>오는 30일부터 주민센터나 인터넷을 통해 신청을 받고 다음 달부터 지급합니다. <br><br>가구원 수에 따라 최대 50만 원까지 지역사랑 상품권이나 선불카드로 1번만 받게 됩니다. <br> <br>모두 서울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[박원순 / 서울시장] <br>"시민의 일상이 멈추고 경제도 멈췄습니다. 전례 없는 비상상황에서는 전례 없는 비상대책이 필요합니다." <br> <br>앞서 박 시장은 전 국민에게 1인당 60만 원씩 재난 기본소득을 주자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명확한 입장을 내지 않자 자체 예산을 마련해 서울시민에게 지원해주기로 한 겁니다. <br><br>박 시장은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전 국민에게 현금 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오늘 또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박원순 / 서울시장] <br>"지금의 추경으로는 코로나 보릿고개를 넘기가 어렵습니다. 시민이 없는 건전재정이 무슨 소용이란 말입니까." <br> <br>하지만 전문가들은 일회성 현금 지원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을 제기합니다. <br> <br>또 소득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해 지급하면 효과는 낮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합니다. <br><br>[강성진 /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피해 본 사람에게 지원이 가야 하잖아요. 피해를 더 많이 봤을 경우는 차라리 몇십만 원씩 더 주는 게 낫다는 거죠." <br> <br>일각에선 총선을 앞두고 여당 소속 자치단체장들이 표심 잡기에 나선 게 아니냐는 비판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 edge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>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