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런 것도 우려되는 점이죠. <br> <br>영국 런던에서 귀국하는 한 비행기 안에서 무려 3명의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이들의 당시 기내 자리를 보면 두 명은 세 줄 간격으로, 다른 한 명은 10줄 이상 떨어져 있었습니다. <br> <br>추정하는대로 기내 감염이라면 그 전파력이 상당하다는 의미겠죠. <br><br>우현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14일 영국 런던발 인천공항행 비행기로 한국에 입국한 60대 미국인 여성. <br> <br>어제 강남구에서 코로나19 확진 통보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이 여성은 입국 다음날부터 두통을 느꼈는데, 이 날은 여성과 같은 비행기를 타고 온 충남 부여에 사는 20대 여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날이었습니다. <br><br>비행기에서 미국 국적 여성이 앉았던 자리는 21번 열. <br> <br>그 자리에서 불과 세열 뒤인 24번 열에 앞서 확진 판정을 받은 부여에 사는 20대 여성이 앉아 있었습니다. <br> <br>37번 열에는 부여 여성과 같은 날 확진 판정을 받은 서울 마포에 사는 20대 유학생이 있었습니다.<br> <br>사흘 사이에 같은 비행기 탑승자 3명이 확진된 겁니다. <br> <br>방역 당국은 강남구에 사는 60대 여성이 비행기 안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 <br> <br>[강남구청 관계자] <br>"역학조사에서 (같은) 비행기에서 (감염) 됐다는 거예요." <br> <br>고효율 공기 필터와 머리 위쪽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공기 흐름 덕분에 기내 감염 가능성은 낮다는 기존 학설에 배치되는 역학조사 결과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감염자가 항공기 안에서 이동을 했거나 기내 물건을 만지면서 바이러스를 퍼뜨렸다면 얘기는 다릅니다. <br> <br>[김우주 /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(기내) 화장실에서 만약 확진 환자가 기침·재채기하고 바이러스에 오염돼 있다가 손잡이든 벽이든 이런데서 교차감염됐을 수도…" <br><br>항공기내 감염 의심사례가 발생하면서, 기내 마스크 착용과 이동 최소화 등 위생 수칙을 지키는게 더 중요해졌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whk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br>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