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전 세계가 대혼란에 빠진 가운데 백신에 앞서 치료제 개발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백신 개발에 1년 가까이 시간이 걸리는 만큼 기존의 약으로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동헌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목요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 식품의약국, FDA에 몇몇 약품을 코로나19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즉시 승인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상황이 급한 만큼 통상 몇 달이 걸리는 승인 절차를 단축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이것은 금융 전쟁이 아닙니다. 의료 전쟁입니다. 우리는 승리해야 합니다. 이 전쟁은 매우 중요합니다.]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 언급된 약품이 '클로로퀸'과 '렘데시비르'입니다. <br /> <br />'클로로퀸'는 말라리아 치료제이고, '렘데시비르'는 항바이러스제인데, 코로나바이러스의 세포 침입과 재생산을 억제해 증상을 완화한다는 동물실험 결과는 있지만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는지는 입증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FDA의 승인으로 약품의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할 길이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'렘데시비르'를 생산한 '길리드'사는 다음 달 천 명의 환자에 약물을 투여해 약효를 확인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HIV 바이러스 치료제가 코로나19에는 효과가 없었다는 중국의 실험 결과에서 보듯이 결과를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[스티븐 한 / 미 FDA 국장 : 백신 개발과 승인까지 12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. (승인과 치료제 개발 등) 이 모든 것은 백신까지 가는 다리가 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스위스의 한 제약업체도 기존의 류머티즘 치료제로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을지 미국 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인류의 대재앙이 되고 있는 코로나19를 극복할 치료제 개발에 세계 각국이 나서고는 있지만 당장 성과를 기대하기는 이르다는 평가가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헌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32100520659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