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“코로나19 치료제, 반년 안에 투여”…전문가, 낙관 경계

2020-03-23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하루빨리 코로나 19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이 되어야 할 텐데요. <br> <br>국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습니다. <br> <br>언제쯤 개발될 지 안건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우리나라 바이오기업 셀트리온이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로 찾았다고 한 항체는 300종. <br> <br>셀트리온은 "질병관리본부로부터 환자 면역세포를 받은 지 3주 만에 가장 핵심적인 첫 단계를 완료했다"며 임상시험 돌입 시점도 기존 여섯 달에서 넉 달 내로 당길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낙관론에 힘입어 주가도 어제보다 14.75%나 뛰었습니다. <br> <br>셀트리온을 비롯해 치료제 개발에 나선 곳은 10곳, 예방용 백신 개발에도 SK바이오사이언스와 녹십자 등 5곳이 뛰어들었습니다.<br> <br>치료제가 나오기 까진 험난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. <br> <br>동물실험을 거쳐 인체에 투여해도 열에 아홉은 상용화에 실패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백신도 마찬가지. <br> <br>2009년 신종플루 때는 4개월 만에 개발했지만, 이번엔 상황이 다르다는 게 문젭니다. <br> <br>[김우주/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(신종플루 때는 이미) 생산 플랫폼이 있는 데다 항원만 바꿔 만들었기에 빨리 만들 수 있었고, 지금 코로나 백신·치료제 생산 플랫폼이 없잖아요." <br> <br>오명돈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도 오늘 기자회견에서 "백신이 나오려면 12개월은 기다려야 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신약 개발보다 다른 질병 치료제를 임상 시험하기도 합니다. <br> <br>서울대병원은 에볼라 치료제 '렘데시비르', 서울아산병원은 각각 에이즈와 말라리아를 치료하는 데 쓰이는 '칼레트라'와 '클로로퀸'을 임상시험하고 있는데 결과는 이르면 5월 중에 나올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srv1954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재평 <br>영상편집: 오성규<br><br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