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업들, 비상경영 돌입…재택 멈추고 위기 대응 체제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업들이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한 비상 경영체제에 잇따라 돌입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유럽과 미국 등 해외 사업장 상황이 나빠져 코로나발 위기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현대·기아차가 지난 달 27일부터 시작한 본사 직원들의 재택근무를 중단하고, 출근 시간 조정과 같은 유연근무제로 전환했습니다.<br /><br /> "비상경영 체제모드로 돌아갔다고 보시면 돼요. (방역을 위해) 최대한 출근을 안하면서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는데, 위기상황이 좀 더 커진거죠."<br /><br />각국의 방역 강화로, 현대·기아차의 인도 첸나이와 동유럽 체코, 슬로바키아 등 주요 공장들은 이미 멈춰 선 상태.<br /><br />삼성전자 역시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인도 노이다 공장은 25일까지, TV를 생산하는 슬로바키아 공장은 29일까지 각각 문을 닫습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는 해외 사업장 방역을 강화하고, 수요 감소 등 코로나19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대응에 나설 계획입니다.<br /><br />SK그룹은 이번 주 최태원 회장 주재로 그룹 경영 회의를 열어 위기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고용시장에도 코로나19발 한파가 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직원 해고 대신 휴업 등으로 고용을 유지하는 기업에 지급되는 고용유지 지원금 신청 기업은 지난 3일 4,400여곳에서 최근 1만7,866곳으로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하루 평균 약 800곳이 지원금을 신청한 셈입니다.<br /><br />앞서 지난 달 두산중공업은 희망퇴직 절차에 돌입했고, 이스타항공은 한달간 '셧다운'을 결정해 다음 달 모든 인원이 휴직에 들어갑니다.<br /><br />기업들은 전 세계 코로나19 확산과 경제 상황에 따라, 비상 대응 수위를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