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4월 위기설' 일단 막았지만…"장기화 대비 필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여파로 회사채 시장에서는 '4월 위기설'까지 돌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일단 정부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대규모 지원책을 내놓으면서 급한 불은 껐지만 사태 장기화에 대비한 추가 대책이 시급해 보입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회사채는 신용도 있는 기업의 안정적 자금조달 창구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달들어 지난 20일까지 기업들의 회사채 순발행액은 1조700억원, 지난해 같은 기간 절반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여파로 기업들의 신용등급이 강등되고 실적이 악화하자 발행이 어려워진 겁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다음달 상환해야 할 만기 회사채만 역대 최대 6조5,000억원에 달해 금융시장에선 '4월 유동성 위기설'까지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이 문제에 내놓은 해법은 회사채를 사들일 20조원의 채권시장안정펀드, 그리고 4조원대 회사채 신속인수제 및 차환 지원, 비우량기업 지원용 채권담보부 증권 6조7,000억원 등입니다.<br /><br />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을 통한 추가 기업대출 29조원은 대기업에도 문을 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금번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의 여파가 실물경제 전반에 미칠 가능성에 대비해 지원대상도 중소·중견기업에서 대기업까지 확대하겠습니다."<br /><br />급한 불은 일단 끈 건데, 타격이 큰 업종들에도 충분한 수준이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합니다.<br /><br /> "항공사들이 버틸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 생존에 필요한 긴급자금을 직접 지원해 주거나 지급보증을 하는 등의 충분한 지원책이 필요하다…"<br /><br />금융당국은 이번 대책이 단기적으로 감내가능한 최대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사태 장기화에 대비한 또 다른 비상대책도 필요하다고 기업들은 지적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