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총선 후보등록이 조금 전인 오후 6시에 마감됐습니다. <br> <br>15번째 출마한 후보도 있고, 허경영 대표의 국가혁명배당금당은 세번째로 많은 190개 지역구에 후보를 냈습니다. <br> <br>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<br> <br>강지혜 기자, 총선 경쟁률부터 알아볼까요?<br><br>[리포트]<br>선관위가 오후 7시를 기준 집계했는데요. <br> <br>21대 총선 지역구 경쟁률이 4. 2대 1로, 20대 총선 경쟁률 3.73대 1보다 높아졌습니다. <br> <br>현재까지 집계 상황을 보면 남성이 81%, 여성이 19%입니다. <br><br>나이대별로는 50대 후보가 49%로 가장 많고 60대 26%로, 40대 17% 순입니다. <br> <br>20대 총선에 비해 20,30대 후보 비율은 줄었습니다.<br> <br>남자 후보들의 경우 군 미필자가 16%에 달하는데요. <br> <br>탈북자인 미래통합당 태영호 후보는 병적 기록이 아예 없습니다. <br> <br>2001년 국내 첫 양심적 병역 거부를 선언한 오태양 후보는 '군 미필자'로 분류됐습니다. <br> <br>최다 전과기록 보유자는 10범의 김동우 민중당 후보로 집시법 위반이 대부분입니다. <br><br>등록 후보 중에 최다 출마자는 15번째 도전한 무소속 서중현 후보입니다. <br> <br>안상수 미래통합당 의원과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, 정동영 민생당 의원도 10번째 출마를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에 이어 3번째로 많은 후보를 낸 정당은 190개 지역구에 후보를 낸 허경영 대표의 국가혁명배당금당입니다. <br> <br>살인과 존속폭행, 준강제추행 등 전과가 있는 후보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면서 비례정당과 비례후보가 크게 늘어난 것도 특징입니다. <br><br>2016년 총선에서 비례후보 등록자는 158명이었지만, 이번에는 200여명이 훌쩍 넘었습니다.<br> <br>비례정당의 증가로 정당 투표용지 길이도 역대 최장을 기록할 전망입니다. <br> <br>정당수가 25개가 넘어가면 수개표를 해야 합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중앙선관위에서 채널A뉴스 강지혜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