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방역 시뮬레이션해 보니...밀집 시설 운영 제한이 결정적 변수 / YTN

2020-03-27 11 Dailymotion

코로나19 확산의 억제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방역과 사회적 거리 두기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죠. <br /> <br />컴퓨터로 모의실험을 해봤더니, 예배당이나 실내체육시설 같은 밀집 공간에 사람이 모이지 않도록 하는 게 결정적인 변수임이 다시 한번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함형건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미국 워싱턴 포스트는 코로나19의 확산 과정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해 주목을 끌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회적 거리 두기를 포함한 방역 대책에 따라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본 겁니다. <br /> <br />한국의 국내 상황에 적용하면 어떨까? <br /> <br />데이터 시각화 전문기업인 브이더블유엘이 한국적 현실에 맞춰 진행한 시뮬레이션의 내용을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200명이 사는 작은 마을에 1명의 감염자가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노란색으로 표시된 감염자가 짙은 회색으로 칠한 건강한 사람과 접촉할 때마다 노란색으로 상대를 변화시키며, 바이러스가 퍼집니다. <br /> <br />격리 치료를 전혀 안하는 극단적인 경우를 가정한 겁니다. <br /> <br />녹색 동그라미 즉, 회복된 사람들로 가득 차야 사태가 종료되는데, 결과적으로 마을 사람 200명이 한번씩은 감염된 뒤에야 사태가 마무리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상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를 할 경우입니다. <br /> <br />2개의 작은 사각형이 예배당이나 실내체육시설 같은 밀집공간을 의미하는데, 그 안에서 순식간에 노란색 동그라미가 늘어나며, 감염자가 급증합니다. <br /> <br />당국이 방역 조치를 개시하자, 감염자는 격리 치료를 받고, 개인은 외출을 자제하는 제한적인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합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이들은 일정 시간 다른 사람과 차단되어, 추가 감염을 억제합니다. <br /> <br />점차 녹색 동그라미 즉 회복되는 사람이 늘어나며 상황이 진정됩니다. <br /> <br />일부는 마지막 순간까지 한번도 감염되지 않지만 그 수는 많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더욱 적극적인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할 경우입니다. <br /> <br />밀집 구역에서의 급격한 감염 확산은 비슷한데, 확진자에 대한 격리 치료와 함께, 일상 생활 중 절반을 사회적 거리 두기 하는 게 차이입니다. <br /> <br />전반적으로 추가로 감염되는 사람이 조금 더디게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바이러스의 전파 속도, 즉 화면 하단의 노란색 그래프의 기울기가 약간 완만해집니다. <br /> <br />상황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은 좀 더 길어졌지만, 마지막까지 감염되지 않은 사람의 숫자도 조금 더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엔 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32806131018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