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 재난지원금의 기준도 논란이지만 전국 지자체들끼리 주겠다는 지원금이 다 다른 것도 문제입니다. <br> <br>어느 지역에 사느냐에 따라 많게는 200만 원 가까이 차이가 납니다. <br> <br>김철웅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시민들은 코로나19 재난지원금을 많게는 150만 원까지 받게 됩니다. <br><br>정부 긴급재난지원금 100만 원과 시에서 자체 지급하는 가구당 최고 50만 원의 긴급지원비 모두 수령이 가능한 겁니다. <br><br>서울시는 지원 예산을 마련하기 위해 중요 사업을 포기하고 재정부담도 감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박원순 / 서울시장] <br>“재정적 어려움이 불 보듯 뻔한 상황입니다. 다리 하나를 베어낸다는 결단도 내리겠습니다.” <br> <br>전국 지자체들이 너도나도 지원금을 확대하면서 지역에 따라 격차는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><br>경기 포천시민들은 시 자체 지급액 1인당 40만 원씩, 경기도와 정부 지원금까지 모두 합하면 4인 가구 기준, 많게는 280만 원까지 받습니다. <br> <br>반면 중복 지원을 하지 않기로 한 경상남도에선 도 지원금 50만 원을 받았다면, 그만큼 정부 지원금에서 빼기로 해 100만 원만 받을 수 있습니다.<br> <br>포천시와 최대 180만 원 차이가 나는 겁니다. <br> <br>[경기도민] <br>“뭐 주면 좋죠. 누구라도 주는 게 좋잖아요. 근데 형평성이 다른 게 있잖아요. 지역에 따라서 더 주고 덜 주고….” <br> <br>[정혜자 / 경기 수원시] <br>“재정은 한정적인데 그 돈으로 너무 현금으로 살포하는 게 아닌가. 표를 얻기 위한 선심성 정책을 펴는 게 아닌가.” <br> <br>중앙정부가 사실상 지자체별 재난지원금 조율에 실패한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희비가 교차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<br>woong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재덕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