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세계는 아직 비상인 반면 중국은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자평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래서일까요. 코로나19 숙주로 알려진 박쥐 등 야생동물 거래까지 다시 재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베이징 권오혁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냉동창고를 급습한 중국 공안. <br> <br>사슴, 노루 등 야생동물 수십마리의 사체가 발견됩니다. <br> <br>다른 창고에선 냉동상태의 토끼가 쏟아져 나옵니다. <br> <br>[장리원 / 산시성 류린현 삼림파출소 부소장] <br>“창고 안에서 야생토끼 851마리 등을 찾았습니다.” <br> <br>야생 꿩을 SNS에 자랑하다가 붙잡힌 사람도 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<br>“이걸 어떻게 먹어야 맛있을까요?” <br> <br>[현장음]<br>“이 영상 당신이 올렸습니까?” <br>“예, 제가 올렸습니다.” <br> <br>코로나 19 사태 이후, 끊긴 듯했던 중국 내 야생동물 거래가, 지난달 말부터 재개되고 있습니다. <br><br>코로나19 숙주로 지목된 박쥐와 천산갑까지 다시 거래되고 있다는 외신 보도도 나왔습니다. <br><br>코로나19 감염이 폭증하고 있는 미국에선, 우려 목소리가 터져나왔습니다. <br> <br>[린지 그레이엄 / 미 공화당 상원의원(지난달 31일)] <br>“중국 정부가 야생동물 시장을 폐쇄하지 않는다면 미중 무역 관계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중국 대사에게 편지를 쓸 겁니다.” <br> <br>이런 가운데, 인구 60만인 중국 허난성의 한 지역이 다시 봉쇄됐습니다. <br> <br>무증상 감염자가 잇따라 발견되자 2차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겁니다. <br> <br>[현장음]<br>“지아현 마을로는 지나갈 수가 없습니다.” <br><br>중국 보건당국은 지난 2월 갑자기 통계에서 뺐던 무증상자를, 어제부터는 다시 집계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<br>이런 오락가락 행보가, 통계에 대한 불신을 더욱 키우고 있단 지적입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권오혁입니다.” <br> <br>영상취재 : 위보여우(VJ) <br>영상편집 : 민병석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