9억 이하 아파트 쏠림 지속…풍선효과 여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서울 강북권 9억원 이하 아파트 매수세는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억 원씩 몸값을 낮췄지만 대출이 안되는 강남의 고가 아파트도 나오는 즉시 팔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서울 평균 아파트값은 역대 처음으로 9억원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8억원을 넘은 지 17개월 만으로, 지난해 12·16 부동산대책 이후 9억원 이하 주택으로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발생하면서 평균 가격이 오른 겁니다.<br /><br />실제 강북 14개 구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한 달 새 1,520만원이 올랐는데, 강남권 11개 구 대비 2배나 높았습니다.<br /><br />매입에 나서는 주 연령층은 30대, 청약 가점이 낮아 분양을 통한 내 집 마련이 어려운 데다 집값이 계속 오를 것이란 기대감에 사들이는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가격 오름세가 계속되고 있는 인천과 경기도의 비규제 지역은 여전히 풍선효과를 노린 매입이 많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 "현재는 무주택자나 30대 젊은 층의 실수요 중심으로 중저가 아파트의 매수세가 유지되고 있는데요. 저금리 상황이 계속되면 이같은 상황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보유세 부담 등의 이유로 서울 강남권과 용산 등지에서 최고 7억원까지 떨어진 급매물은 자산가들이 속속 매입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집값이 낮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15억원 이상이라 대출이 안되는 상황인데도 사들이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렇다 보니 일부 단지는 가격이 또 오르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돈이 많은 분들은 예상외로 은행 융자에 대해서 신경을 안써요. 대출받아 사실 분들은 전세 끼고 사야 하는데 애매해져서 힘들지요."<br /><br />서울 지역 집값은 9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상황. 일각에서는 하락세가 이어져도 일부 지역에 국한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