외출 늘고 학원 열고…"다시 거리 둬야 정상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처음에 비해 좀 느슨해진 게 사실입니다.<br /><br />시민들의 외출이 늘고 학원이나 각종 영업시설의 재개가 확연히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다시 한 번 거리를 벌려야 정상 복귀도 빨라질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외출 최소화와 만남, 모임의 자제, 개학 연기까지.<br /><br />지난 2주간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의 목표는 정상으로의 복귀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난 2주간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100명이 넘는 날이 절반에 이릅니다.<br /><br />안심하기엔 이른 겁니다.<br /><br />사정이 이런데도 시민들의 경계심은 느슨해진 것이 사실입니다.<br /><br />서울에서 가장 붐비는 지하철 2호선 강남역의 경우 하루 평균 12만 명이던 승차인원이 신천지발 대량 감염사태 뒤 절반으로 급감했다 최근 7~8만명으로 다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장시간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피로 때문이기도 하지만 현실적 문제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수능, 편입, 취업이란 인생의 관문을 눈앞에 둔 수험생들은 다시 학원을 찾을 수밖에 없었고,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만 잘하면 된다는 생각에 공원 등을 찾는 나들이 인원이 부쩍 많아진 겁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예기치 못한 소규모 집단 감염과 해외 유입 탓에 정부 목표처럼 하루 신규 확진자를 50명 이하로 곧바로 줄이긴 어렵다면서도 사회적 거리두기의 고삐를 다시 한 번 죌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 "당장 환자 수가 급격히 줄거나 하지 않겠지만, 현 상황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미국이나 유럽 상황과 같은 최악 상황을 막는데 크게 기여 할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당장은 힘들지만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좀 더 연장해 추가 확산을 막는 것만이 생활방역체제로의 전환을 통한 경제, 사회의 조기 정상화를 앞당길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