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대안 심도 있게 논의 중"…대기업 특혜 시비 우려하는 모습 <br />전문가 "고정비 비중 높은 산업…빠르게 숨통 틔워줘야" <br />"저비용 항공사는 금융 지원·대형사 정부 지급 보증 필요<br /><br /> <br />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 하늘길이 막히면서 항공업계가 존폐 위기에 몰렸는데요. <br /> <br />대책을 고민 중인 정부는 여전히 대기업 항공사의 자구노력을 강조하고 있어,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업계와는 온도 차를 보이고 있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'셧다운'에 들어간 저비용 항공사 이스타항공이 정규직을 300명 줄이기로 한 데 이어 대형사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도 자구책 마련에 나서는 등 항공업계 전반이 고사 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업계는 정부의 빠른 지원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"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"면서도 기업의 자구 노력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안을 심도 있게 논의 중이라는 했지만, 여전히 '대기업 특혜 시비' 우려에 더 신경을 쓰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런 원론만 강조하기엔 상황이 급하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비행기가 날지 못해도 고정비가 빠져나가는 산업 특성상, 당장 숨통을 틔워줘야만 생존이 가능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저비용 항공사엔 금융 지원을, 대형사엔 회사채 발행 시 정부의 지급 보증을 해주는 방식의 투트랙 지원 방식이 강력히 거론됩니다. <br /> <br />[허희영 /한국항공대 경영학부 교수 : (대형사들은) 운전자금만으론 막을 수 없습니다. 계속 줄줄이 들어오고 있는 부채 상환이나 회사채 만기를 연장해주고 그것에 대해서 계속 자금 조달이 가능해지도록 하려면 정부가 지급보증을 해줘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실제로 미국 독일 등이 기간산업인 항공산업의 중요성을 고려해 앞다퉈 대규모 자국 항공사 지원 대책을 발표한 것과는 대비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는 그러나, 코로나19로 다른 산업군도 위기에 처한 만큼 정부가 선별적 지원을 하되, 이미 공급 과잉의 문제를 안고 있는 항공업계의 구조적 재편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주 원 /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: (코로나19로) 위기에 빠진 산업이 줄을 서 있거든요. 정부가 무한정 (지원)할 순 없고 대형사들도 특단의 대책은 필요한 것 같아요. 스스로 대규모 자산을 빨리 매각한다든가 이런 부분도 동반되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40717153646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