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서울 야간 유흥주점 영업을 막았더니, 근처 일반음식점 유사주점에 손님들이 북적였습니다. <br> <br>이유림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심야 영업 중인 유흥업소에 단속반이 들이닥칩니다. <br> <br> 사실상 영업을 제한한다는 서울시의 공문을 전달하기 위해서입니다. <br> <br>[서울 마포구청 공무원] <br>"유흥시설 집합금지명령 때문에 시설에 대한 영업을 하시면 안 되고요." <br> <br> 업주는 유사주점들에 대한 단속에는 손을 놓은 채 유흥업소만 영업을 제한하냐며 분통을 터뜨립니다. <br> <br>[유흥업소 업주] <br>"다 같이 이러면 이해를 해요 저희도. 일반음식점이란 타이틀 가지고 (장사)했던 가게들은…" <br> <br> 단속반이 떠난 뒤에도 현장을 살펴봤습니다. <br> <br> 클럽 등 유흥업소가 문을 닫자 일반음식점으로 분류된 주점 앞에는 사람들이 북적입니다. <br> <br>[업소 관계자] <br>"솔직히 말씀드릴게요. 저희도 (손님이) 조금 몰려요. 그리고 ○○포차 그리고 여기 건물 2층에 있는 ○○도…" <br> <br> 유흥업소 분위기인 또다른 주점도 손님으로 가득합니다. <br> <br>[유사주점 고객] <br>"한 달 정도 기다리다가 아 이제 (코로나 19) 괜찮구나!" <br> <br> 외국인들이 많이 모이는 주점 역시 방역 지침이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 좁은 공간에 모여 술과 게임을 즐기지만 마스크를 쓴 사람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마스크 왜 안 썼어요?) 와서 쓰려고 했는데 술 마시고 싶어서. 이게 편하니까" <br> <br> 서울시는 유흥주점이 아닌 일반음식점으로 분류된 업소들에 대해 영업 제한 등의 조치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이유림 / 기자] <br>"대신 서울시는 외식 자영업자 단체 등을 통해 영업 과정에서 방역 지침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유림입니다." <br> <br>reas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호영 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>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