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용위기 현실로…3월 구직급여 역대 최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영향으로 고용 위기감도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얼마나 상황이 안 좋은지는 통계로도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늘면서 지난달 정부의 구직급여 지급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가 촉발한 고용위기는 우선 구직급여 통계에서 감지됩니다.<br /><br />고용노동부의 3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늘면서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9천억 원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전년 동기보다 2천5백억 원, 40.4% 늘어난 수치로, 지난달의 최대기록 7천8백억 원을 한 달 만에 갈아치웠습니다.<br /><br />구직급여 신청자도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3월 신규 신청자 수는 전년동기보다 3만여 명 늘어난 15만6천 명.<br /><br />2월과 비교하면 약 5만 명이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업종별로는 개인병원 등 보건복지업과 제조업, 건설업, 학원 같은 교육서비스업 종사자가 많았는데,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업종들이 대부분입니다.<br /><br />채용을 줄이고 휴직을 권고하는 기업들이 늘면서 고용보험 가입자 수 증가폭은 크게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 등으로 호텔 같은 숙박업의 경우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마이너스로 돌아섰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각 업체들에 고용을 유지해달라고 당부하며 대책 마련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 "지금 위기 터널을 빠져나갈 때까지 노사가 합심해 고용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 이를 위한 추가적 고용안정대책을 관계부처와 함께 빠른 시일내에 마련하여 추진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이번 통계에는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등은 제외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실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충격파는 더 클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