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미국이 코로나19 확진자도 사망자도 가장 많은 나라가 됐습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 책임론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, 트럼프 정부는 5월에 경제활동을 다시 할 수도 있다는 얘기를 꺼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윤수민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자택 격리 지침을 무시하고 운동을 하는 사람들. <br> <br>드론이 하늘 위에서 확인하더니 바로 경고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. 코로나19로 인해 이 공원은 폐쇄됐습니다." <br><br>미국 코로나19 확진자는 55만 명, 누적 사망자도 2만 2천 명을 넘었습니다. <br><br>최다 발병지인 뉴욕에선 부활절에도 생명을 살리기 위한 사투가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[에어릭 플루팅어/ 시나이 퀸즈 병원 박사] <br>"어린 환자, 노인 환자, 그리고 모든 연령대의 환자들이 너무 고통스러워해요. 여기서 들을 수 있는 건 산소호흡기 소리뿐이죠." <br> <br>미국이 최다 발병국이라는 오명을 쓰게 되자, 트럼프 대통령 책임론도 거세지고 있습니다. <br><br>지난달 14일 코로나 19 TF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그냥 지나가도록 하면 안 되느냐며 집단감염을 거론하자, 파우치 소장이 많은 사람들이 사망할 것이라며 반대했다는 겁니다. <br><br>[앤서니 파우치 / 미 전염병 연구소 소장] <br>"우리가 좀 더 일찍 조치를 시작했다면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을 거라는 얘기들이 많은데요. 맞습니다." <br><br>이런 비판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가짜 뉴스라고 일축했습니다. <br><br>너무 이르다는 보건당국의 우려에도 불구하고, 연일 5월 경제 재개론을 띄우고 있습니다. <br><br>"5월부터 이동제한령을 완화할 지를 두고, 미국 내에선 격론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미국의 결단 여부가, 다른 나라들의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.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채널A 뉴스 윤수민입니다." <br> <br>soo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최춘환(VJ)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