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번 총선은 유권자의 1/4이 사전투표를 했죠. <br> <br>주요 격전지들은 이 표들이 당락을 결정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사전투표함이 열리면서 출구조사 결과가 바뀐 곳도 14곳이나 됩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상파 출구 조사가 발표되는 순간. <br> <br>간발의 차이로 앞선 정당은 환호했고, 그 반대 당은 실망했습니다. <br> <br>[출구조사 발표] <br>"서울 영등포을 3선에 도전하는 김민석 후보와 여의도 토박이 박용찬, 탈당한 무소속 이정현 후보의 3파전인데요. 예상 1위는 미래통합당 박용찬 후보입니다." <br> <br>하지만 사전투표함이 열리는 순간 결과가 바뀌었습니다. <br><br>선거 당일 영등포을 표심은 박용찬 통합당 후보에게 3천여 표를 더 줬지만 사전투표 유권자들은 김민석 민주당 후보에게 8천7백 표를 더 줘 5.9% 포인트 차 승리를 안긴 겁니다.<br><br>서울 성동을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본투표에서는 지상욱 통합당 후보가 4천7백 표 앞섰지만, 사전투표에서 박성준 민주당 후보가 1만 표 이상 더 얻어 4.7% 포인트 차로 뒤집었습니다.<br><br>이처럼 출구조사 결과 개표 후 뒤집힌 곳은 14곳에 달합니다. <br> <br>단 3곳을 제외하면 모두 민주당 당선 지역입니다.<br> <br>이번 사전투표율은 역대 최고치로 지난 총선보다 14.5%P 높았습니다. <br> <br>유권자 1/4이 먼저 표심을 정했는데 이 사전투표가 당락 결정에 위력을 발휘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선관위는 사전투표 참여자 중 50대가 21.9%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과거 선거에서는 29세 이하와 60대 이상이 사전 투표에 적극 나섰는데 이번에는 민주화 운동 세대인 586이 판세를 바꿨다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