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당 압승으로 문재인 정부는 조기 레임덕 걱정을 덜고 국정운영에 힘을 받게 됐습니다. <br> <br>게다가 청와대 출신 후보가 19명이나 당선되면서 여당 내 친문 목소리도 더 커지게 됐습니다. <br> <br>청와대가 우위에 있는 당청 관계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강병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21대 총선에 출마한 청와대 행정관급 이상 30명 중에서 19명이 국회 입성에 성공했습니다. <br> <br>더불어민주당에서 윤영찬 전 국민소통수석, 정태호 전 일자리수석 등 18명이 당선됐고, 열린민주당에선 1명만 비례대표로 당선됐습니다.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의 '복심'으로 불리는 윤건영 전 국정기획상황실장과 '대통령의 입'이었던 고민정 전 청와대 대변인도 <br>당선을 확정지었습니다. <br> <br>[윤건영 / 서울 구로을 당선자] <br>"정치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." <br> <br>[고민정 / 서울 광진을 당선자] <br>"함께 뜻을 같이 할 수 있는 의원 동료들이 많아진 것에 대해서도 굉장히 기쁩니다." <br> <br>청와대 출신 의원만 20명에 이르다보니 민주당 내 친문 세력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당장 다음달 원내대표 선거와 오는 8월 당 대표 선거부터 존재감을 드러낼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나란히 3선 반열에 오른 친문 박범계, 전해철 의원이 각각 원내대표, 당대표 후보로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나아가 내년 하반기 대권 경쟁 구도에서도 친문 세력의 선택이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또 친문 세력을 고리로 청와대의 당 장악력이 커지면서 각종 개혁 정책 추진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 <br>be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성훈 <br>영상편집: 유하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