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선거는 끝났지만 선거 뒤처리는 이제 시작입니다. <br> <br>현수막이나 후보 포스터 외에도 투표소에서 나눠준 1회용 비닐장갑까지 이번에 특히나 쓰레기가 넘쳐납니다. <br> <br>신선미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구청 직원들이 거리에 걸린 현수막을 떼냅니다. <br> <br>트럭에는 철거한 현수막들이 가득 쌓여 있습니다. <br> <br>이젠 쓸모가 없어진 현수막을 수거하는 겁니다. <br> <br>[A구청 관계자] <br>"(현수막 수거가) 거의 다 완료됐을 거예요. 오늘 보니까 너무 많아 가지고, 바로 비운다고 했어요." <br> <br>이번 총선에서 후보자들이 제작한 현수막은 3만여 장. <br> <br>폐현수막 재활용이 부진하다는 지적에, 정부는 지역 재활용업체나 사회적 기업 등에 폐현수막을 무료로 제공해 재활용을 활성화하겠다는 지침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현장에선 여전히 현수막들이 버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 지침을 모르는 경우도 허다합니다. <br> <br>[B구청 관계자] <br>"차에 보관했다가 나중에 폐기 처분해요. 재활용 그런 얘긴 없었고, 가끔 요청하는 데가 있어요. 그쪽에다 주고 그러죠." <br><br>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사용된 일회용 비닐장갑도 골칫거립니다. <br> <br>[신선미] <br>"투표소에서 나온 쓰레기입니다. 안에는 투표할 때 쓴 일회용 비닐장갑이 가득합니다." <br><br>사전투표와 본투표 때 사용된 1회용 비닐 장갑은 5천만 장 이상으로 추산됩니다. <br> <br>평소 비닐장갑은 재활용이 가능하지만, 정부는 코로나19 감염 우려 탓에 전량 소각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환경부 관계자] <br>"감염병 전파 차단을 목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따로 재활용하지 않고 소각을 하라고 (지침을) 보냈고요." <br> <br>코로나19 사태로 불가항력적인 경우도 있지만, 선거철만 되면 쏟아지는 쓰레기 문제 해결의 핵심은 재활용이 아닌 쓰레기 자체를 줄이는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신선미입니다. <br> <br>fresh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기현 박재덕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