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그제 서울 지하철 1호선 전동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있었죠. <br> <br>조사결과 바퀴를 지탱하는 부품이 끊어진 것이었는데 운행한지 24년이나 된 노후 전철이었습니다. <br> <br>다른 열차는 괜찮을까요? <br> <br>구자준 기자가 점검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그제 아침 서울 지하철 1호선 신길역 근처에서 탈선한 전동차입니다. <br> <br>객차 바퀴가 선로 바깥 쪽 바닥에 내려앉아 있습니다. <br> <br>조사 결과 사고 열차의 차축이 끊어져 있었던 사실이 확인 됐습니다. <br><br>사고 열차는 신길역을 100m 앞두고 선로 분기점을 지난 직후에 탈선했습니다. <br> <br>탈선이 시작된 건 두번째 칸 객차였습니다. <br><br>객차의 왼쪽 바퀴와 차축이 만나는 지점에서 윤활기능을 하는 베어링이 망가지면서, 차축 온도가 급격히 올라갔고 결국 끊어져 버린 걸로 추정됩니다.<br> <br>사고 전동차는 운행한 지 24년 된 열차로, 사용연한이 1년 밖에 남아있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코레일 관계자] <br>"1996년도에 도입한, 내년에 교체 계획이 있는 차량인 거죠. 베어링 자체가 어떻게 파손됐는지는 그건 조사 중이죠." <br> <br>낡은 전동차의 내구성이 원인이 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는데, 문제는 이런 전동차가 한둘이 아니라는 겁니다. <br><br>이번에 사고가 난 서울 지하철 1호선 열차 1317량 가운데 530량이 운행한 지 20년을 넘긴 노후 열차입니다.<br> <br>올해와 내년에 사용 연한인 25년을 꽉 채우는 1호선 열차만 70량에 이릅니다. <br><br>코레일의 수도권 열차 2644량 전체를 살펴봐도, 열량 가운데 네량 꼴로 운행기간이 20년을 넘긴 노후 열차입니다.<br> <br>코레일은 1호선 노후 전동차부터 일제 점검을 하고 신규차량으로의 교체도 서두르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낡은 전동차를 탈 수 밖에 없는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엔 충분치 않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구자준입니다. <br>jajoonneam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: 유하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