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문재인 / 대통령] <br />존경하는 국민 여러분, 4·19혁명 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, 오늘은 4·19혁명 60주년입니다. <br /> <br />목숨보다 뜨거운 열망으로 우리의 가슴 깊이 민주주의를 심었던 날입니다. <br /> <br />독재에 맞선 치열한 저항으로, 우리는 함께하면 정의가 살아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, 더 큰 민주주의를 향해 전진하는 민주주의자가 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뜨거웠던 그 날 이후, 해마다 4월이면 진달래가 흐드러지고, 진달래 꽃잎이 흩날릴 때마다 우리는 민주주의를 위해 쓰러져간 영혼들을 기억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의 가슴에는 독재에 굴복하지 않는 불굴의 용기와 멈출 수 없는 희망이 자랐습니다. <br /> <br />4·19혁명은 어느 날 갑자기 일어난 혁명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1960년 2월 28일, 대구의 고등학생들이 먼저 ‘독재타도'를 외치며 정의의 횃불을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3월 8일, 대전의 학생들이 ‘민주와 자유의 깃발'로 호응했고, 기어코 3·15 부정선거가 자행되자 마산의 고등학생과 시민들이 거리로 뛰쳐나와 의거를 일으켰습니다. <br /> <br />고등학생이었던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참혹한 모습으로 마산 앞바다에 떠오르면서 3·15의거의 불길은 전국으로 퍼져나갔고, 마침내 4월 19일, 서울의 학생들과 시민들이 ‘독재타도'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자유와 민주주의, 평등과 정의, 평화라는 대한민국의 위대한 가치들이 평범한 사람들의 함성으로 되살아났습니다. <br /> <br />4·19혁명은 민주주의를 향한 전 국민의 공감과 저항 정신이 축적된 결과였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2018년 드디어 2·28대구민주운동과 3·8대전민주의거를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여, 3·15마산의거와 함께 4·19혁명을 이끌어낸 연결된 역사로 기념하게 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이 자리에는 2·28대구민주운동, 3·8대전민주의거, 3·15마산의거, 4·19혁명 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께서 함께하고 계십니다. <br /> <br />60년 전, 이 땅에 위대한 민주주의의 역사를 심어주신 주역들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. <br /> <br />국민 여러분, 4·19혁명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굳건한 뿌리입니다. <br /> <br />‘주권재민'을 훼손한 권력을 심판하고, 정치·사회적 억압을 무너뜨린 혁명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힘이 모여 ‘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,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'는 민주공화국의 원칙을 다시 일으켜 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학생들은 학원 민주화를 외쳤고, 노동자는 노동조합을 조직했으며, 교사들은 민주시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pn/0301_2020041910221591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