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사실 긴급재난지원금은 당장 불을 끌 뿐, 더 중요한 건 국민 개개인이 일자리를 지키는 일일텐데요. <br><br>지금 기업들은 일단 직원들을 ‘무급’휴직시키며 겨우 겨우 버티고 있습니다. <br><br>이렇게 휴직한 사람이 160만 명에 달합니다. <br><br>대량 구조조정으로 이어지진 않을까, 조마조마합니다. <br><br>홍유라 기자입니다. <br> <br>[리포트]<br>[제60주년 4·19혁명 기념식] <br>"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경제위기 상황을 함께 이겨내야 합니다. 핵심은 일자리를 지켜내는 것입니다." <br> <br>일자리 걱정이 가장 큰 곳은 항공업계입니다. <br> <br>아시아나항공은 4월 한 달간 예정됐던 무급휴직을 무기한 연장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저비용 항공사인 제주항공은 유급휴직을, 진에어는 무급휴직과 유급휴직을 병행 실시하고 있습니다.<br> <br>항공업계를 포함해 이같은 일시 휴직자는 지난달 160만 7천 명을 기록했습니다. 사상 최대치입니다. <br> <br>문제는 일시 휴직자가 실업자가 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겁니다. <br><br>[허희영 / 한국항공대 경영학부 교수] <br>"현재가 그대로 지속된다면 LCC(저비용항공사) 업계에는 구조조정이 크게 일어날 것이고요." <br> <br>이런 우려 때문인지 대통령은 구조조정 없는 기업을 우선 지원하겠다고 못박았습니다. <br> <br>[제60주년 4·19혁명 기념식]] <br>"정부는 노사합의를 통해 고용을 유지하는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할 것입니다." <br> <br>코로나19 고용 충격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고용안정 정책은 이번주에 발표됩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yura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오영롱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