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비대면 소비 급증에…‘재활용 쓰레기’와의 전쟁

2020-04-20 6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코로나 19 사태 이후 온라인 쇼핑이나 배달 이용이 크게 늘었죠. <br> <br>그러다보니 재활용 쓰레기가 덩달아 늘어났습니다. <br> <br>물량은 넘치는 데 활용할 곳이 없다보니 재활용품 쓰레기가 쌓여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‘쓰레기 대란'마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김태영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대형 트럭이 싣고 온 물건들을 쏟아냅니다. <br> <br>종이와 플라스틱, 스티로폼 같은 재활용 쓰레기들입니다. <br> <br>하루 평균 50톤의 재활용 쓰레기를 처리하던 이 곳에선, 코로나19 사태이후 반입량이 40% 이상 늘었습니다. <br> <br>직원들은 특근까지 하며 처리하느라 분주합니다. <br> <br>[한점수 / 재활용품처리 업체 직원] <br>"물량이 많이 들어와서 하루에 끝내야하는데 잔업을 하잖아요. 그래서 (일이) 너무 많아요. " <br> <br>[김태영 기자] <br>"코로나19 사태 이후 매일 같이 재활용품과 쓰레기가 몰리면서 이렇게 산처럼 쌓여있습니다." <br> <br>들어오는 양은 늘었지만 경기침체 여파로 활용할 곳이 마땅치 않다보니 가격은 떨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폐지 값은 지난해보다 25% 넘게 떨어졌고, 고철은 28%, 플라스틱도 4% 내렸습니다. <br><br>[이봉환 / 재활용품처리 업체 이사] <br>"재활용품이 나가질 않고 있어요. 가격도 다운되고 상당히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." <br> <br>정부는 재활용쓰레기 시세 변동에 맞춰 아파트와 수거업체가 계약 내용을 고칠 수 있는 가격연동제를 대책으로 내놨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현장의 반응은 신통치 않습니다. <br> <br>[재활용품처리 업체 관계자] <br>"(단가를) 일주일 뒤에 또 조정해야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데 가격 조정을 얘기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에요" <br> <br>2년 전 중국이 쓰레기 수입을 거부하며 발생한 '쓰레기 대란'이 다시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김태영입니다. <br> <br>liv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영래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br><br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