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재테크 하면 부동산 혹은 증권이나 펀드가 떠오르죠. <br> <br>과거 부동산시장에 몰렸던 자금들이 코로나 19를 거치며 주식시장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 같은 '머니시프트'로 형성된 주식 대기자금이 무려 142조 원에 달합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코로나19 충격으로 하락하는 주식시장을 버티게 한 건 개인투자자들, 이른바 '개미'였습니다. <br> <br>오늘도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은 1조 원 가까이 순매수하며 1890선을 사수했습니다. <br> <br>모두 주가가 오를 것이란 기대감 때문입니다. <br> <br>[안건우 기자] <br>"기대감은 자금 규모로 확인됩니다. 증시에 들어갈 시점을 가늠하고 있는 투자자들의 대기자금은 142조 원으로 사상 최대치입니다.<br><br>코로나19 본격 확산 전인 석 달 전과 비교하면 27조 원이나 늘었습니다."<br> <br>각종 규제에 코로나19 충격파까지 덮치자 자금 일부가 부동산 시장에서 주식 시장으로 옮겨간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금융전문가들은 이참에 주식거래세처럼 불합리한 세금을 축소하거나 폐지해 주식시장을 키우자고 주장합니다.<br><br>중국과 홍콩은 세율이 훨씬 낮고 미국 등 금융선진국은 아예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방식으로 투자를 활성화하고 있는 상황.<br> <br>대신 주식 거래로 이익이 생겼을 때만 일정비율의 세금을 내면 됩니다. <br> <br>투자자들에게 유인책을 제시해야 천문학적인 부동자금이 부동산이 아닌, 주식 시장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되면 기업에도 도움이 돼 선순환 경제가 구축된다는 겁니다. <br> <br>[황세운/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] <br>"(연간) 6조~8조 원 걷히는 상황이고, 증권거래세가 폐지·인하되면 이 자금이 신규로 주식시장에 유입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이번 총선에서 여야 모두 거래세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운 만큼 관련 논의도 급물살을 탈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srv1954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 철 <br>영상편집: 오성규<br>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