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자연스레 김정은 위원장 후계자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부부 사이에 자식이 세 명 정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, 다 10살 이하의 아이들이라 바로 지도자 반열에 오르기는 힘들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. <br> <br>그러다보니 현재로서는 여동생 김여정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관측이 우세합니다. <br> <br>계속해서 이동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김정은 위원장 중태설 보도 이후 외신들은 앞다퉈 권력 승계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영국 BBC는 "여동생 김여정이 가장 확실한 선택"이라고 했고 가디언 역시 "김여정은 김정은 다음으로 <br>북한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> <br>[조선중앙TV (지난 12일)] <br>"김여정 동지를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보선했습니다." <br> <br>김여정 제1부부장이 1년 만에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권력 중심에 복귀한 것을 염두에 둔 겁니다. <br> <br>또 김 부부장이 지난달 본인 명의 담화로 청와대를 비난하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받은 친서를 공개하는 등 최근 자신만의 머리기사를 만든 것에 주목했습니다.<br> <br>김일성 혈통이 중시되는 북한에서 현재 공식 직함이 있는 건 김여정뿐입니다. <br> <br>김정은 위원장의 형인 김정철, 고모인 김경희, 삼촌인 김평일, 조카인 김한솔은 권력 기반이 전혀 없거나 해외를 떠도는 상황입니다.<br> <br>만약 김 위원장 신변에 이상이 생긴다면 노동당 중심으로 새로운 지도체제가 꾸려집니다. <br> <br>대외적으로는 정치국 상무위원인 최룡해와 박봉주 집단체제로 운영하되 조직지도부를 장악한 김여정이 뒤에서 실권을 휘두를 가능성이 큽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 역시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[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] <br>"김여정의 경우 나이도 어리고 여성이고 후계자로 공식 지명이 안 됐고 공식적 직함이 정치국 후보위원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권력 균열들이 바로 나타나기 시작할 거다." <br> <br>김정은 위원장은 부인 리설주 사이에 2남1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> <br>모두 10살 미만이라 현재 승계 구도에서는 빠져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동은입니다. <br> <br>story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철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