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하늘길이 막히면 이런 어려움도 생깁니다. <br> <br>코로나19 때문에 외국인 노동자 구하기가 어려워지면서, 농촌 마을은 한 해 농사를 망칠 위기입니다. <br> <br>서채리 기자가 농민들을 만나고 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비닐하우스 채소밭 위로 트랙터가 지나갑니다. <br> <br>멀쩡한 시금치 밭을 통째로 갈아 엎고 있는겁니다. <br> <br>이 농장에서 하루 동안 갈아 엎은 시금치 밭만 비닐하우스 5개, 버려진 시금치만 10톤 분량에 이릅니다. <br> <br>[이용완 / 경기 고양시] <br>"상품성이 떨어졌기 때문에 시장에 출하를 할 수 없어서 이건 부득이하게 갈아엎게 된 거예요. <br> <br>수확철이면 외국인 일꾼이 최소 8명은 필요한데 일손을 못 구해 출하 시기를 놓친 겁니다. <br> <br>[이용완 / 경기 고양시] <br>"내 자식 어디에 보내는 그런 아픔과도 같은 생각으로 갈아엎게 됐습니다." <br> <br>배 산지인 경기 안성시의 과수원도 상황은 마찬가지. <br> <br>[서채리 기자] <br>"매년 4월 말이면 이렇게 붓으로 배꽃에 꽃가루를 묻혀주는 수정 작업이 한창일 때인데요. 외국인 일꾼 <br>구하기가 어려워지면서 과수원마다 일손 부족을 호소하고 있습니다."<br> <br>예년 같으면 5만 제곱미터 넓이 과수원에서 외국인 일꾼 20여 명이 하던 일을 지금의 고령의 내국인 5명이 나눠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손으로 하는 수정 작업은 엄두가 나지 않다보니, 상품성 있는 열매가 맺히길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. <br> <br>[안승구 / 경기 안성시] <br>"(수작업 대신) 기계를 이용해 수정을 시키게 돼 있습니다. 기계로 수정을 하다 보니까 착과 수가 너무 많아…." <br> <br>항공편 중단과 인력송출 중단 결정으로 네팔, 스리랑카, 인도네시아 등 고용허가제 적용 대상인 16개 나라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이 사실상 끊긴 겁니다.<br> <br>만성적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농가들이 코로나19로 인한 구인난에 신음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, 서채리입니다. <br>seochaeri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홍승택 <br>영상편집: 배시열<br>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