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13년 관측 사상 가장 늦은 봄눈…요란한 봄날씨 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해 봄 날씨는 유난히 변덕스러운데요.<br /><br />매서운 꽃샘추위에 불청객 황사가 날아들더니, 서울에서는 113년 관측 이래 가장 늦은 봄눈까지 내렸습니다.<br /><br />4월인데 왜 이렇게 추운건지, 또 언제부터 다시 따뜻해지는지, 김재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누런 먼지가 하늘을 온통 뒤덮었습니다.<br /><br />멀리 떨어진 고층 건물들은 희미하게 윤곽만 드러납니다.<br /><br />중국 북동부에서 발원한 황사가 찬 바람을 타고 날아들면서 공기질이 크게 나빠진 것입니다.<br /><br />수도권의 먼지 농도는 한때 세제곱미터당 300ug 안팎까지 치솟으면서 환경 기준치의 3배를 웃돌았습니다.<br /><br />막바지 꽃샘추위에 서울에서는 진눈깨비가 관측됐습니다.<br /><br />4월 하순에 서울에 눈이 날린 것은 처음으로 1907년 관측 이래 가장 늦은 봄눈으로 기록됐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초여름에서 겨울을 넘나드는 이례적인 봄 날씨 한반도 주변의 꽉 막혀있는 공기 흐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북쪽 5km 상공을 지나는 커다란 저기압이 일본 동쪽의 공기 장벽에 막혀 정체하고 있는데, 이 저기압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빙글빙글 돌면서 대륙의 찬 공기를 한반도로 끌어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른바 블로킹 현상이라 불리는데, 기상 이변을 만드는 주요한 원인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주 후반까지는 찬 공기가 지속적으로 밀려들면서 꽃샘추위가 이어지겠습니다.<br /><br /> "(중부 내륙) 아침 기온이 0도 이하로 떨어지는 등 춥겠으니, 반짝 추위로 인한 농작물 냉해에 유의하기 바랍니다."<br /><br />기상청은 주말부터는 기류 정체가 풀리면서 다시 따뜻한 봄날씨가 찾아올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재훈입니다. (kimjh0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