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미국의 실업 대란이 5주 연속 이어져 2천6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유가가 미국의 원유 감산 움직임에 이틀째 급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증시는 혼조세를 보이다 보합권에서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강태욱 특파원! <br /> <br />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5주째 수백만 건을 기록하고 있죠. 지난주는 얼마나 됐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미국 노동부는 실업수당을 청구한 사례가 지난주에만 443만 건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일자리가 줄었다는 의미인데요. <br /> <br />매주 수백만 건의 실직 사태가 5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넷째 주 687만 건까지 치솟았다가 3주 연속 줄고는 있지만, 폭증세는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최근 5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를 합치면 2천650만 건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블룸버그통신은 실업수당 청구자를 모두 실업자로 간주할 경우, 미국의 4월 실업률이 20%에 이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최근 가장 불안한 경제 지표 가운데 하나가 국제유가 아니겠습니까? 어제에 이어 오늘도 급등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제유가가 미국의 원유 감산 움직임에 이틀째 급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1배럴에 2달러 72센트, 19.7% 상승한 16달러 50센트에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서부텍사스산 원유 가격은 이틀간 42.6% 상승하며 11달러 선에서 16달러 선으로 올라섰습니다. <br /> <br />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브렌트유도 1배럴에 96센트, 4.7% 상승한 21달러 33센트에서 거래됐습니다. <br /> <br />초저유가를 버티기 어려운 미국의 비수익 유정들이 잇따라 가동을 중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언론들은 미국 멕시코만의 해상 유정들부터 폐쇄되고 있으며 오클라호마 주와 뉴멕시코 주의 육상 유정들도 일부 폐쇄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상 유정은 미국 산유량의 15%가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증시는 어떤가요? 이어지는 실업대란과 국제유가 급등 중 어느 것이 더 영향을 발휘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결론은 혼조세 마감인데요. <br /> <br />다우 지수는 0.17% 상승한 채 거래를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S&P500 지수는 0.05% 나스닥 지수는 0.01% 내린 채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이란의 갈등이 고조된 점과 미국의 산유량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42408043838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