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총선에서 참패한 미래통합당의 수습은 결국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의 손에 맡겨졌습니다. <br><br>권한도 임기도 제한이 없는 막강한 비대위원장입니다. <br> <br>당장 비대위원 구성에 관심이 쏠립니다. <br> <br>이민찬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김종인 전 통합당 총괄선대위원장이 비상대책위원장직을 수락했습니다. <br> <br>[심재철 / 미래통합당 대표 권한대행] <br>"김종인 전 선대위원장께 당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는 공식적인 요청을 드렸고, 이를 받아들이셨습니다." <br> <br>통합당은 28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김종인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의결합니다. <br> <br>임기는 비상상황이 종료될 때까지로 비대위원 구성 등 전권을 갖고 통합당 쇄신에 나서게 됩니다. <br> <br>김 전 위원장은 구체적인 쇄신 방법에는 말을 아꼈고 할 일을 다하면 언제든 그만두겠다며 자신감을 보였습니다. <br> <br>[김종인 / 전 미래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] <br>"내가 할 일을 다 했다고 생각하면 언제고 내가 그만둘거니까. 임기를 정확하게 할 필요가 없어요." <br> <br>김 전 위원장은 비대위에 청년을 다수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중입니다. <br> <br>또 당선자들에게 다양한 역할을 맡겨 당의 가치와 노선을 재정립하는 것을 우선 순위로 삼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당내 일각에서는 여전히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조경태 최고위원은 '전권'을 주는 것은 당헌당규 위반이라고 반발했고, <br> <br>유승민 의원은 "비대위를 한다고 금방 답이 나오는 게 아니다"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찬입니다. <br> <br>leemin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김영수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