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점역 교정사' 라고 들어보셨나요? <br /> <br />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일반 문서를 점자로 번역하는 일인데요. <br /> <br />시각장애인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점역 교정사들을 KCTV 김경임 기자가 만나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조용한 사무실 안, 타자 치는 소리만 들립니다. <br /> <br />컴퓨터 화면은 줄지어 입력된 점들로 가득합니다. <br /> <br />6개의 점을 조합해 의미를 갖게 되는 점자입니다. <br /> <br />헤드폰을 끼고 작업에 몰입 중인 강치훈 씨입니다. <br /> <br />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음성파일로 만들어진 문서를 듣고, 점자로 변역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점자로 된 전공 책이 없어 불편함을 겪어야 했던 대학 시절, 그렇게 점자에 관심을 갖게 된 강 씨는 벌써 10년 째, 점역 교정사로 활약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강지훈 / 점역 교정사 : 점자로 만들어주는 곳도 그 당시에는 별로 없었고요. 만들더라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학기가 종강한 후에 책을 받는 경우가 생겼거든요.] <br /> <br />손가락 끝의 감각을 집중해 한 글자씩 찍어내야 하는 점자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 장시간 작업을 하다 보면 지문이 닳아 없어지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그래도 멈출 순 없습니다. <br /> <br />[강지훈 / 점역 교정사 : 제가 점역한 점자 자료, 예를 들어 소식 지라든지를 보고 새로운 정보를 얻었다고 이야기를 들을 때 가장 (뿌듯합니다.)] <br /> <br />제주 점자도서관에서 점역을 담당하고 있는 전현정 씨. <br /> <br />소설책부터 지도까지 다양한 읽을거리를 점자책으로 만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동료들이 가져오는 점자책을 대신 읽어주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음성으로 된 정보들이 많아져 책에 대한 수요는 많이 줄었지만, 점자는 시각장애인들의 언어인 만큼 책임감을 가지고 일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전현정 / 점역교정사 : (시각 장애인들이) 듣는 것에 의지를 할 수 밖에 없거든요. 모든 정보를 들어서 습득합니다. 그런데 듣는 것도 한계가 있습니다. 듣는 것도 같은 말이라도 우리가 받아들일 땐 뉘앙스, 느낌이 다르잖아요. 특히 언어 학습에 있어서는 점자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해요.] <br /> <br />점자를 통해 시각장애인들에게 더 많은 세상을 만나게 해 주려는 사람들. <br /> <br />지금 이 순간에도 점역 교정사들의 손끝은 멈추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KCTV 뉴스 김경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0042511220901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