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처음 판문점에서 만나 '핵 없는 한반도'라는 공동 목표를 확인한 지 내일로 2년이 됩니다. <br /> <br />급진전하던 남북 관계는 지난해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데 코로나19 사태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재작년 4월, 남북 정상이 군사분계선을 넘나들며 손을 맞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[김정은 / 북한 국무위원장 : 대통령께서 분계선까지 나와서 맞이해주신데 대해 정말 감동했습니다.] <br /> <br />나란히 도보다리를 산책하고 단독 회담까지 가진 두 정상은 핵 없는 한반도에 대한 의지를 다지며 첫 단추를 뀄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(재작년 4월 27일) : 김정은 위원장과 나는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하는 게 우리의 공동 목표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렇게 시작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세 차례 남북 정상회담, 최초의 북미 정상회담까지 급물살을 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해 2월 하노이 북미 회담이 '빈손'으로 끝난 뒤로는 오히려 후퇴했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해 2월) : 기본적으로 북한은 전면적인 제재 해제를 요구했지만, 우리는 그럴 수 없었습니다.] <br /> <br />문 대통령도 하노이 회담 불발을 지난해 가장 아쉬웠던 일로 꼽고 올해 남북 관계 운신의 폭을 넓히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 대북제재라는 높은 벽을 앞에 두고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, 남북 철도와 도로 연결 같은 현실적 방안과 함께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을 다시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(2020년 신년사) :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을 위한 여건이 하루빨리 갖춰질 수 있도록 남과 북이 함께 노력해 나가길 바랍니다.] <br /> <br />남북 대화로 북미 관계를 견인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지만 판문점 선언 2주년을 맞는 지금까지 진전은 없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남·북·미 모두 방역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고, 여기에 김정은 위원장의 건강 이상설까지 확산하면서 당분간 실무 대화 재개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11월 미 대선에 가까워질수록 한반도 비핵화 문제가 트럼프 정부의 우선 순위에서도 멀어진다는 점도 올해 전망을 불투명하게 합니다. <br /> <br />공식 실무 대화가 중단된 상황에서도 남·북·미 정상들은 친서를 주고받으면서 대화의 끈을 이어가고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42605171039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