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케아 DIY 제품으로 인기…매장 4곳으로 확장 <br />이케아, 젊은층에 인기…국내 업체, 중년층 겨냥<br /><br /> <br />요즘 '집콕' 생활이 계속되면서 가구에 대한 관심도 부쩍 커지고 있는데요, 이런 가운데 조립형 가구점 이케아가 서울 시내에 처음으로 매장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가구 시장에서 무섭게 점령해오는 이케아의 도전에 대해 한샘과 리바트 등 토종업체들은 응전의 태세를 다잡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박병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4년 경기도 광명시에 첫 문을 열고 국내에 선보인 스웨덴 가구업체 이케아. <br /> <br />완성된 가구가 아닌 소비자가 직접 부품을 조립하는 체험을 하는 이른바 DIY 제품으로, 젊은 소비자들에게 환영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과 경기도 등지에 4곳으로 매장을 늘린 이케아가 이번에 천호동 현대백화점에 입점해 처음으로 서울 시내에 진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전혜영 / 이케아 서울 천호점 매니저 : 일대일 컨설팅 서비스를 컨설턴트들이 제공해 드리고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해드리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케아의 2015년 국내 매출은 3,080억 원이었지만 지난해 5,032억 원까지 성장해 연평균 16% 성장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토종 가구업체들은 대응을 위해 단단히 몸을 추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샘은 가구와 욕실, 바닥재 등을 새롭게 하는 리하우스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송림 / 한샘 용산직매장 점장 : 가구뿐만 아니라 생활용품, 패브릭, 바닥부터 욕실, 부엌까지 모든 부문을 바꿀 수 있는 리모델링 사업까지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케아가 20-30대 젊은 부부나 싱글 가구를 상대로 4-5년 사용하다 교체할 수 있는 가구를 많이 판매하는 반면 한샘과 리바트 등 국내 업체들은 중년 이상 계층을 상대로 상대적으로 오래 쓰는 가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한샘의 매출은 1조 7,023억원, 리바트는 1조2375억 원으로 5,032억 원에 그친 이케아를 앞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케아가 연평균 16% 성장을 보이고 있는 반면 한샘과 리바트는 지난해 매출이 각각 11%, 6%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사태로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새로 가구나 인테리어를 장만하거나 조립하는 사람들이 많아져, 가구업계는 이 새로운 소비층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병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43006400214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