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당이 개헌도 가능한 200석에 가까운 의석을 얻었기 때문에, 실제로 당내에서 개헌 얘기가 솔솔 나옵니다. <br> <br>정부가 토지 시장에 개입하는 토지 공개념이나, 대통령 중임제가 언급됩니다. <br><br>강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차 추경 처리가 끝나자마자 국민 개헌 발안제를 들고 나왔습니다. <br> <br>[이인영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(국민개헌발안제가 발의 시점으로부터) 60일 이내에 처리하도록 헌법은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. 5월 9일이 데드라인이라서." <br> <br>대통령과 국회의원만 갖고 있는 '헌법 개정안 발의권'을 100만 인 이상의 국민도 가질 수 있게 하자는 겁니다. <br> <br>당장 처리되지는 않더라도 21대 국회에서 전면적인 개헌을 하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이란 말이 나옵니다. <br> <br>실제 민주당 내에서는 총선 직후부터 개헌론이 동시다발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송영길 의원은 언론인터뷰에서 "대통령 단임제를 중임제로 바꿔야 한다"고 주장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을 지낸 이용선 민주당 당선자는 개헌을 통해 "토지공개념을 도입해야 한다"고 <br>주장했습니다.<br> <br>토지공개념은 2018년 문재인 대통령의 개헌안에 담겼던 내용입니다. <br> <br>[조국 / 당시 대통령 민정수석 (2018년 3월)] <br>"'토지의 공공성과 합리적 사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특별한 제한을 하거나 의무를 부과할 수 있도록' 하는 토지공개념의 내용을 헌법에 분명히 하였습니다." <br><br>민주당의 개헌 추진이 과거와 다른 이유는 의석수 때문입니다. <br> <br>더불어시민당을 포함한 민주당 180석에, 정의당과 열린민주당 등 범여권 190석, 여기에 통합당 이탈표 10석만 모으면 개헌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> <br>야당인 미래통합당은 "집권 연장을 위한 의도"라며 날을 세웠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