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리나라는 '수출로 먹고 산다'고 말할 만큼 경제에서 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. <br> <br>반도체, 자동차, 석유화학 등 주력 산업이 있어서 무역수지만큼은 흑자를 유지했었는데, 코로나19 때문에 지난달 99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습니다. <br> <br>김남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달 우리나라의 수출은 1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. <br> <br>수입도 크게 줄었지만 수출보다 덜했습니다.<br> <br>미국, 유럽 등 주요 교역국의 코로나19 확산으로 물건을 팔 곳은 크게 줄어들었지만, <br> <br>우리나라 공장 상당수가 정상 가동하면서 원자재 수입은 어느 정도 이뤄졌기 때문입니다. <br><br>결국 수출로 번 돈 보다 수입에 쓴 돈이 많아지면서 무역 수지는 99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습니다.<br> <br>정부는 한국 내수시장이 다른 나라에 비해 양호해 적자가 나타났다고 해석했습니다. <br> <br>[나승식 / 산업부 무역투자실장] <br>"국내 제조업은 정상 가동 중이며, 주요국 대비 내수 여건도 양호함을 반증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이런 상황에서도 코로나19 특수를 맞은 일부 산업의 수출은 큰 성장세를 보였습니다. <br><br>세계적으로 대박을 친 진단키트 등 방역제품을 비롯해, 비대면 경제의 수혜를 입은 전자제품, 실내생활에 필요한 생활 용품이 <br>수출을 주도한 겁니다.<br><br>하지만 저유가 쇼크까지 겹치면서 주력 산업인 반도체, 자동차, 석유화학은 부진을 떨치지 못했습니다.<br> <br>코로나19 상황에 맞는 새로운 먹거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[김상봉 /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다음 우리가 산업들을 찾지 못해서 수출경쟁력이 떨어지거나 저유가가 계속되면 (무역)적자가 날 수 있는 상황이 (또) 오는 거죠." <br> <br>산업부도 비대면 경제 등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주력산업으로 키우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남준입니다. <br> <br>kimgij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이화영<br>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