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‘쩐의 이동’…저금리 예금 대신 고금리 회사채로 몰린다

2020-05-01 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동학개미운동 코로나19 불황이 찾아오자, 개인투자자들이 주가 상승을 이끌며 만들어진 신조어입니다. <br> <br>주식에 이어 침체된 회사채 시장에도 개미들이 진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괜찮은 선택인지 안건우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나흘 전, 연 최고 3.8%의 금리의 영구채 사전청약을 받은 KB금융지주. <br> <br>3000억 원 규모의 두 배를 훌쩍 넘긴 6560억 원이 몰렸습니다. <br> <br>이 중 개인투자자의 자금이 5000억 원대. <br><br>신용등급이 비교적 높은 KB 금융지주의 경우 전체 투자의 77%, 동아쏘시오홀딩스와 풍산처럼 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회사채들도 개인투자자들의 비중이 컸습니다.<br><br>개인투자자가 사들인 회사채는 4월 초 100억 원대에서 말에는 400억 원을 돌파했습니다.<br><br>연 1% 초중반 대의 낮은 은행금리 대신 고금리인 회사채로 개인투자자가 몰리는 겁니다. <br> <br>[투자사 관계자] <br>"더 높은 금리 찾는 사람도 있긴 했어요. 4%대 없을까 BBB는 너무 위험한지 문의가 꽤 있었고요." <br> <br>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에도 회사채 금리가 오르면서 순매수 규모가 전년 대비 4배나 뛰었습니다. <br> <br>다만, 2013년 '동양그룹 사태'를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가 있습니다. <br> <br>동양그룹 사태는 그룹의 부실을 숨긴 동양그룹의 고금리 회사채에 투자했던 개인투자자 4만 명이 1조 원 넘게 잃었던 사건. <br> <br>[조남희 / 금융소비자원 대표] <br>"기업이 어떻게 취약한지 전반적으로 알지 못한 상태에서 신용등급만 고려했을 때에는 향후 큰 투자실패를 경험할 수 있죠." <br> <br>지금은 코로나19 등 경기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회사의 재무상황을 특히 꼼꼼히 살피고 투자한 목돈이 적어도 1년에서 5년 이상은 묶이는 만큼 당장 필요할 일은 없을지 고민한 뒤 투자에 나서라고 조언합니다. <br>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srv1954@ donga.com <br>영상편집: 배시열<br><br><br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