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김정은 건재'…태영호·지성호 무책임한 폭로 도마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공개 활동으로 건재함을 드러내면서 미래한국당 지성호 당선인이 주장한 '사망설'은 가짜뉴스가 됐는데요.<br /><br />태영호·지성호, 두 탈북 정치인의 무책임한 폭로에 대한 비판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최지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의 건재한 모습이 북한 매체를 통해 전해지면서 억측을 제기했던 일부 정치인들은 민망한 상황이 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건강 이상설과 사망설을 제기한 북한이탈주민 출신의 미래통합당 태영호, 미래한국당 지성호 당선인은 무책임한 폭로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북한 고위 외교관 출신인 태 당선인은 앞서 "한 가지 분명한 것은 김 위원장이 스스로 일어서거나 걷지 못하는 상태"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지 당선인은 "김 위원장의 사망을 99% 확신한다"면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유훈통치를 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인권운동가인 지 당선인은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정연설에 깜짝 등장하는가 하면, 미 공화당 대북 강경파 의원들과의 교류도 부각하고 있어, 그의 주장에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지 당선인이 사망설을 주장한 노동절 당일에 김 위원장이 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는 북한 보도가 나오면서 그의 주장은 '가짜뉴스'가 되고 말았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국회의원으로서 국가 기밀이나 비밀 정보를 다뤄야 한다는 점에서 자질론이 불거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청와대와 민주당은 두 당선인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"정부 공식 입장과 배치되는 '사망설', '위급설'을 주장하려면 근거를 갖고 책임있게 해야 했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"국민을 불안하게 한 선동을 어떻게 책임질 것이냐"고 몰아세웠습니다.<br /><br />지 당선인은 상황을 조금 더 지켜보자며 한발짝 뒤로 물러났고.<br /><br /> "나름으로는 파악한 내용에 따라 말씀드렸던 것이고요…김정은 건강 문제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는지에 대해 속단하진 말고 조금 더 지켜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태 당선인은 분석이 다소 빗나갔다면서도 지난 20일 간 김 위원장의 건강에 아무 문제가 없었던 것인지 의문이 말끔히 지워지진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'김정은 사망설'은 북한뉴스 유통 구조의 문제점도 여실히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사회의 폐쇄성으로 인해 '소식통'이라는 이름 하에 출처가 불분명한 주장이 국내외 매체를 넘나들고, 이 과정에서 '가짜뉴스'로까지 확대·재생산되는 방식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