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 조금씩 일상을 찾아가고 있지만 한때 확진자가 다녀갔던 업소들은. 여전히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. <br><br>이미 소독도 마쳤고 추가 감염자도 없었고 이제 여기서 감염될 확률은 없죠.<br><br>그런데도 코로나 19가 주홍글씨 같은 낙인으로 남았다고 합니다. <br><br>사공성근 기자가 직접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에 있는 이 PC 방은 최근 업소명을 바꾸고 간판도 바꿔 달았습니다. <br> <br>지난 3월 확진자 4명이 이 곳을 다녀간 사실이 동선조사에서 드러나자, 손님 발길이 뚝 끊겨버린 겁니다. <br> <br>내부 인테리어도 바꾸고 소독도 철저히 했지만, 확진자가 다녀간 곳이라는 낙인은 쉽게 지워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PC방 사장] <br>"확진자 나왔다 하니까 꺼리니까 상호도 아무래도 찝찝하고 해서 바꿨죠. 우리가 피해자잖아. 손해가 막심해도 폐업한 순 없잖아." <br> <br>폐업을 막으려고 수천 만원을 긴급대출 받았지만 매출 회복은 더디기만 합니다. <br><br>코로나19에 확진된 공사장 근로자가 다녀간 식당 네곳이 있는 서울 여의도의 상가 건물. <br> <br>식당 한 곳은 한강 나들이객에게 돗자리와 텐트를 빌려주는 곳으로 업종을 바꿨습니다. <br> <br>영업 재개 한 달이 지났지만 입주 상인들은 형편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질 않습니다. <br> <br>[상가 관계자] <br>"한번 툭 (손님이) 빠졌는데, 한 달만 고생하면 되는 게 아니고, 이 상황에서는 유지는 안 되는 거죠. 결국은 문 닫는 거예요." <br> <br>[음식점 직원] <br>"확진자 왔다 간 한주는 (손님이) 거의 없었어요. 매출이 싹 떨어져서 문을 닫다시피 하고. 영업을 3일 동안 안 했어요." <br><br>[사공성근 기자] <br>"집단 감염이 일어났던 서울 구로구 콜센터입니다. <br> <br>사무실이 폐쇄되고 책상과 의자 같은 가구만 남아 있는데요. <br> <br>폐쇄된 지 벌써 50일이 지났지만 인근 주민들은 여전히 불안하다고 호소합니다." <br> <br>[이도경 / 서울 구로구] <br>"다 괜찮아졌다는고는 하는데, 좀 더 시간이 지나고 가야지 지금은 가기 싫어서 찝찝해서 안 갔던 거 같아요." <br> <br>콜센터 건물의 카페에는 조금씩 손님이 찾아오기 시작했지만, 같은 건물의 예식장은 주말에도 텅 비어 있습니다. <br> <br>[예식장 관계자] <br>"6월달부터 해가지고 연말까지, 내년까지 연기들을 많이 하셨어요." <br> <br>상인들은 확진자 동선이라며 실명 상호가 인터넷상에서 낙인처럼 돌아다니는 상황을 멈춰야 한다고 말합니다. <br><br>소상공인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사후 지원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사공성근입니다. <br> <br>402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강철규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