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 19 때문에 꾹꾹 눌러왔던 소비욕이 폭발하듯 활활 타오릅니다. <br><br>일명 ‘보복 소비’가 중국 부자들 중심으로 불붙었습니다. <br><br>하루 사이에 수십억 원 어치씩 명품이 팔려나간다는데, 대륙 거부들의 통 큰 소비 한수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1일 중국 상하이의 한 명품 매장 앞. <br> <br>구매를 하려는 사람들이 장사진을 쳤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<br>"모두 줄을 서 있네요. 전염병 때문에 입장을 제한한 거 같아요. 안을 보시죠." <br> <br>베이징의 백화점에는 사람들이 명품 로고가 박힌 쇼핑백을 4~5개씩 들고 다닙니다. <br> <br>[현장음]<br>"프라다! 구찌! 롤렉스 시계가 다 팔렸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." <br><br>현지 언론에 따르면, 코로나19 사태로 문을 닫았다 재개장한 광저우의 한 명품 매장에선, 하루 매출로는 최대인 우리 돈 33억 원어치가 팔렸습니다. <br><br>억눌린 소비를 분풀이처럼 한다는 뜻의 '보복성 소비' 조짐으로 보이는 대목입니다. <br><br>[현장음]<br>"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 있네요. 이게 바로 보복성 소비입니다." <br> <br>사회 전반으로 소비 분위기를 확산시키기 위해 중국 정부도 발벗고 나섰습니다. <br><br>온라인처럼 오프라인 매장의 야간 영업 시간도 늘렸고, 오는 5일에는 주요 도시에서 쇼핑 페스티벌을 열기로 했습니다. <br><br>그러나, 이런 소비가 일부 부자들에게 국한된 현상이란 평가도 나옵니다. <br> <br>한 패스트푸드 점의 반값 할인 행사에는, 전국 각지 매장에 끝도 없는 구매 행렬이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[중국 스마트폰 관련업체 노동자] <br>"예전에는 한 달에 5천 위안은 벌었어요. 그런데 요즘에는 (주문이 줄어서) 3천 위안밖에 못 받아요." <br> <br>중국 정부의 총력전에도 불구하고, 코로나 19로 인한 충격파가 워낙 심한 탓에, 경제 회복이 더딜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한수아입니다. <br> <br>sooah72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br><br>